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우분투 설치 및 기본 세팅하기 (Apache, PHP, Mysql)
    IT/웹 개발 2023. 11. 3. 19:24

    [이 블로그는 해킹 공부하면서 가볍게 정리용으로 기록 및 내 생각을 끄적여 두기 위한 블로그(라 쓰고 일기라 읽는)이다.]

     

    지난 글에서 우분투 깡통 서버를 만들고 몇 시간에 걸쳐 세팅을 했다고 글을 마무리하였는데 그 과정인 우분투 설치 및 기본 세팅에 관하여 글을 써 보겠다.

    (사실 세팅도 하고 로그인 페이지 구현까지 하는 시간이긴 하다. 그 과정에서 오류가 나고 덜 깔린 패키지 받는 시간 포함.

    생각보다 오류가 많다...)

     

    작업하면서 캡처하고 기록한 것이 아니라 다소 생략된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

     

    우선 첫 번째https://ubuntu.com/download/server  로 들어가 아래의 사진에 표시된 22.04.3 LTS를 클릭하여  다운로드하여 주면 된다.

     

     

    Ubuntu 공식 홈페이지

     

    두 번째로는 자신이 선택한 가상머신을 열어 위에서 다운로드한 이미지 파일을 삽입한다. (가상머신에 이미지파일 삽입하고 설정하는 과정은 캡처를 하지 못해 글로만 쓰겠다.)

     

    세 번째는 CPU, RAM 등등 가상머신의 사양을 맞춰주고 Next 버튼을 클릭하면서 설정 완료한다. (자신의 컴퓨터에 맞춰 세팅해 주자.)

     

    마지막으로 이제 가상머신에서 우분투를 실행하고 검은색 화면의 CLI 창이 뜰 텐데 여기서 Y를 입력해 주면서 넘어가고 자신의 이름 및 서버이름을 입력해 주면 리눅스 깡통 서버 생성 완료!

     

     

    완성 됐다면 이렇게 뜰 것이다. 가상머신에서 직접 작업하면 마우스도 밖으로 안 나가지고 (Ctrl+Alt 버튼 누르면 빠져나가짐) 글씨도 보기 불편한 이유로 깔끔한 터미너스라는 원격 SSH로 접근하여 실습을 할 것이다.

     

    서버를 설치하고나서 apt 명령어를 이용하여 업데이트 및 업그레이드 그리고 필요한 패키지를 설치하자.

    내가 설치한 패키지 종류

    (apache, php, mysql, systemd, tomcat, python, net-tools, openssh-server, docker(podman)

     

    패키지 관리자 update
    apache 패키지 다운로드

     

     

    혹시 리눅스 서버의 인터넷이 안된다면 가상머신의 네트워크 설정이 host only로 되어있는지 확인해 보자. 이건 구축된 가상머신끼리만 통신을 한다는 설정이고 nat나 bridge로 되어있어야 한다. 터미너스 프로그램으로 내 pc에서 가상머신을 접속하는 형태로 진행할 거라 nat 설정으로 하였다.

     

    우선 터미너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해주고(무료이다.) systemctl start sshd 명령어를 쳐줘 ssh 서비스를 실행시킨다. 그리고 ifconfig 라는 명령어를 쳐줘서 자신의 IP를 확인한다. (서비스 구동 확인은 systemctl status sshd)

    터미너스를 열어 new host 를 선택하고 우분투 서버의 ip, 포트번호 22, 아이디 및 비번을 입력해 주고 완료하면 된다.

     

    터미너스로 ssh 원격 접속한 상태

     

    이상으로 가상머신에서 우분투 서버 설치 및 세팅을 완료했다. (중간중간 생략이 되어있지만...)

Designed by Tistory.